2022년 6월 30일 최저임금위원회에서 2023년 적용 최저임금을 발표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3년 최저임금과 최근 10년간의 최저임금 인상률을 알아보겠습니다.
2023년 최저임금 및 인상률
2023년 최저임금 시간급은 9,620원으로 2022년 대비 5.0% 인상되었습니다(2022: 9,160원→2023: 9,620원). 주 40시간 근로, 월 209시간 기준 월 단위 환산액은 201만 580원입니다. 2023년 최저임금은 시간급으로 정해졌으며 사업 종류별로 구분하지 않고 모든 업종에 동일한 금액을 적용하는 것으로 결정되었습니다. 한편 최저임금 논의 과정에서 노·사 양측이 제4차 제시안까지 제출했으나 입장 차이를 좁히지 못해 공익위원에게 단일안 제시를 요청했으며 동 단일안으로 표결한 결과 찬성 12명, 반대 1명, 기권 10명으로 가결되었습니다(재적위원 27명 중 23명 참여, 4명은 표결 선포 전 퇴장).
[표] 2022~2023년 최저임금
단위: 원
구분 | 2022년 | 2023년 | 인상률 (인상액) |
시간급 | 9,160 | 9,620 | 5.0% (460) |
월 환산액 (209시간) |
1,914,440 | 2,010,580 | 5.0% (96,140) |
자료: 최저임금위원회
[표] 2023년 최저임금 시간급 제시안 및 단일안
단위: 원
구분 | 근로자위원 | 사용자위원 |
공익위원 단일안 | 9,620 (+5.0%) |
|
제4차 제시안 | 10,080 (+10.0%) |
9,330 (+1.86%) |
제3차 제시안 | 10,090 (+10.1%) |
9,310 (+1.6%) |
제2차 제시안 | 10,340 (+12.9%) |
9,260 (+1.1%) |
최초 제시안 | 10,890 (+18.9%) |
9,160 (+0%) |
2022년 최저임금 | 9,160 |
자료: 최저임금위원회
2014~2023년 최저임금 인상률
2014~2017년 4년간은 최저임금이 매해 7~8% 정도 인상되었습니다. 2018년, 2019년에는 각각 16.4%, 10.9%를 기록해 인상률이 지난 4년에 비해 증가했고 2020년, 2021년에는 2.87%, 1.5%를 기록해 반대로 인상률이 크게 감소했습니다. 2022~2023년 최저임금은 약 5%씩 인상되었습니다.
[표] 2014~2023년 최저임금 인상률
단위: 원
적용 연도 | 시간급 | 인상률 | 인상액 |
2023 | 9,620 | 5.0% | 460 |
2022 | 9,160 | 5.05% | 440 |
2021 | 8,720 | 1.5% | 130 |
2020 | 8,590 | 2.87% | 240 |
2019 | 8,350 | 10.9% | 820 |
2018 | 7,530 | 16.4% | 1,060 |
2017 | 6,470 | 7.3% | 440 |
2016 | 6,030 | 8.1% | 450 |
2015 | 5,580 | 7.1% | 370 |
2014 | 5,210 | 7.2% | 350 |
자료: 최저임금위원회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SRT, KTX 일반실 가격 비교 (0) | 2023.02.14 |
---|---|
2023년 기준 중위소득 및 급여별 선정 기준 (0) | 2022.10.03 |
6차 특고·프리랜서 고용안정지원금(신규 신청) 정리 (0) | 2022.06.11 |
6차 특고·프리랜서 고용안정지원금(기수급자 신청) 정리 (0) | 2022.06.10 |
소상공인 손실보전금 지원 대상, 금액, 신청 방법 (0) | 2022.06.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