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글에서는 2020년 9월에 출시된 갤럭시 탭 S7과 약 1년 반 뒤인 2022년 2월 출시된 갤럭시 탭 S8 간의 가격, 구성품, 스펙 차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가격, 구성품 및 색상
갤럭시 탭 S7은 와이파이, LTE 모델이 있으며 모델별로 저장 용량 128GB, 256GB, 512GB 옵션이 있습니다. 출시 가격은 와이파이 모델 기준 각각 83만원, 90만원, 105만원 정도이며 LTE 모델은 와이파이 모델보다 약 10만원 비쌉니다. 갤럭시 탭 S8은 와이파이, 5G 모델이 있으며 모델별로 저장 용량 128GB, 256GB 옵션이 있습니다. 출시 가격은 와이파이 모델 기준 각각 85만원, 98만원 정도이며 5G 모델은 와이파이 모델보다 약 20만원 비쌉니다. 즉 갤럭시 탭 S7에서 S8로 넘어가면서 와이파이 128GB 모델은 2만원, 256GB 모델은 8만원 올랐습니다.
[표] 갤럭시 탭 S7·S8 모델별 출시 가격
단위: 원
기종 | 네트워크 | 저장 용량 | 출시 가격 |
탭 S7 | 와이파이 | 128GB | 829,400 |
256GB | 899,800 | ||
512GB | 1,049,400 | ||
LTE | 128GB | 929,500 | |
256GB | 999,900 | ||
512GB | 1,149,500 | ||
탭 S8 | 와이파이 | 128GB | 849,200 |
256GB | 979,000 | ||
5G | 128GB | 1,049,400 | |
256GB | 1,179,200 |
자료: 삼성전자
갤럭시 탭 S7 구성품은 태블릿과 S펜, USB 케이블(A to C), 15W USB-A 충전기입니다. 탭 S8 구성품은 태블릿, S펜, USB 케이블(C to C)로 충전기가 제외되었습니다.
갤럭시 탭 S7은 저장 용량에 따라 선택 가능한 색상이 다릅니다. 128·256GB는 미스틱 실버, 미스틱 블랙 두 가지가 있고 512GB는 미스틱 네이비만 있습니다. 참고로 512GB 미스틱 네이비 모델은 탭 S7 출시 후 약 7개월 뒤에 추가되었습니다. 갤럭시 탭 S8은 저장 용량 상관없이 공통적으로 실버, 그라파이트, 핑크 골드 색상이 있습니다.
[표] 갤럭시 탭 S7·S8 구성품 및 색상
기준일: 2022년 7월 17일
구분 | 갤럭시 탭 S7 | 갤럭시 탭 S8 |
국내 출시일 | 2020.09.03. | 2022.02.25. |
추가 모델 국내 출시일 | 2021.04.08. (512GB 모델) |
- |
구성품 | 태블릿 S펜 USB 케이블 15W 충전기 |
태블릿 S펜 USB 케이블 |
색상 | 128/256GB: 미스틱 실버 미스틱 블랙 512GB: 미스틱 네이비 |
실버 그라파이트 핑크 골드 |
자료: 삼성전자
스펙
갤럭시 탭 S7에서 S8로 넘어가면서 메모리, 프로세서, 카메라, 네트워크 사양 등에 변화가 있었습니다. 아래에서는 둘의 차이점을 먼저 살펴보고 공통점을 알아보겠습니다.
차이점
탭 S7과 탭 S8은 저장 용량에 따라 메모리 용량이 다릅니다. 탭 S7 메모리/저장용량은 6/128GB, 8/256GB, 12/512GB이며 탭 S8의 메모리/저장용량은 8/128GB, 12/256GB입니다. 즉 탭 S8 메모리가 탭 S7보다 128GB 모델은 2GB, 256GB 모델은 4GB 큽니다.
프로세서로 탭 S7은 퀄컴의 스냅드래곤 865+를 탑재했고 탭 S8은 퀄컴의 스냅드래곤 8 1세대를 탑재했습니다. 둘의 벤치마크 점수*를 비교해 보면 탭 S8이 S7보다 긱벤치 5 싱글코어는 35%, 멀티코어는 4% 높고 3D마크 와일드 라이프 익스트림은 78% 높습니다. 즉 탭 S8이 S7보다 CPU 싱글코어 및 멀티코어는 35%, 4% 더 빠르고 GPU는 78% 더 빠르다고 볼 수 있습니다. 참고로 탭 S7의 스냅드래곤 865+는 갤럭시 Z 폴드2에, 탭 S8의 스냅드래곤 8 1세대는 갤럭시 S22 시리즈에 탑재된 프로세서이기도 합니다.
* 싱글코어 및 멀티코어는 긱벤치에 올라온 벤치마크 결과 100개(탭 S7: SM-T870, 탭 S8: SM-X700)의 평균 점수를 사용했습니다. 3D마크 와일드 라이프 익스트림은 2022년 7월 17일 UL 태블릿 랭킹의 점수를 사용했으며 탭 S7은 와이파이 모델과 LTE 모델의 평균 점수를 사용했습니다.
[표] 갤럭시 탭 S7·S8 프로세서 및 벤치마크 점수
구분 | 갤럭시 탭 S7 | 갤럭시 탭 S8 |
프로세서 | SD 865+ | SD 8 1세대 |
공정 | 7나노 | 4나노 |
CPU | 8코어 1×Cortex-A77@3.09GHz 3×Cortex-A77@2.4GHz 4×Cortex-A55@1.8GHz |
8코어 1×Cortex-X2@2.99GHz 3×Cortex-A710@2.4GHz 4×Cortex-A510@1.7GHz |
GPU | Adreno 650 | Adreno 730 |
긱벤치 싱글코어 | 793 (100%) |
1070 (135%) |
긱벤치 멀티코어 | 2902 (100%) |
3017 (104%) |
3D마크 와일드 라이프 익스트림 | 1233 (100%) |
2188 (178%) |
자료: 삼성전자, 아난드텍, 긱벤치, UL
탭 S7과 S8의 후면 카메라 구성은 메인 및 초광각 카메라로 같지만 탭 S8의 초광각 카메라 화소(600만)가 탭 S7(500만)보다 100만 높습니다. 전면 카메라 화소도 탭 S8(1200만)이 탭 S7(800만)보다 400만 높습니다. 근거리 무선통신은 탭 S7이 와이파이 6, 블루투스 5.0을 지원하는 데 비해 탭 S8은 보다 최신 규격인 와이파이 6E, 블루투스 5.2를 지원합니다. 셀룰러 모델의 경우 탭 S7이 LTE를 지원하는 데 비해 탭 S8은 5G 및 LTE를 지원합니다. 또 탭 S8은 측면 및 후면 소재로 아머 알루미늄을 사용해 탭 S7보다 긁힘에 약 30% 더 강하고 휨은 약 40% 덜합니다.
[표] 갤럭시 탭 S7·S8 차이점
구분 | 갤럭시 탭 S7 | 갤럭시 탭 S8 |
메모리/저장용량 | 6/128GB 8/256GB 12/512GB |
8/128GB 12/256GB |
프로세서 | SD 865+ | SD 8 1세대 |
후면 카메라 | 초광각 500만 | 초광각 600만 |
전면 카메라 | 800만 | 초광각 1200만 |
근거리 무선통신 | 와이파이 6 블루투스 5.0 |
와이파이 6E 블루투스 5.2 |
이동통신 | LTE | 5G |
내구성 | - | 긁힘 30% 개선 휨 40% 개선 |
자료: 삼성전자
공통점
탭 S7과 S8은 11인치 LCD 디스플레이를 탑재했으며 화면 비율은 16 대 10, 해상도는 WQXGA(2560×1600, 276ppi), 최대 주사율은 120Hz입니다. 배터리 용량은 8,000mAh이며 최대 45W 충전을 지원합니다.
USB 포트의 모양은 C타입이고 통신 규격은 USB 3.2 1세대입니다. 마이크로 SD 카드는 최대 1TB를 지원하며 셀룰러 모델은 유심 1개를 장착할 수 있습니다. 스피커로는 쿼드 스테레오 스피커를 탑재했으며 공간 음향인 돌비 애트모스를 지원합니다. 원통형의 3.5mm 이어폰 잭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또 탭 S7과 S8은 크기가 같으며 정품 케이스 중에는 두 기종 모두와 호환되는 제품도 있습니다.
[표] 갤럭시 탭 S7 및 S8 호환 정품 케이스
가격 기준: 2022년 7월 17일 삼성전자 홈페이지 정가
제품명 | 특징 | 가격 |
갤럭시 탭 S8 북커버 | 50/65도 각도 | 66,000원 |
갤럭시 탭 S8 노트 뷰 커버 | 커버 위 S펜 사용 가능 | 77,000원 |
갤럭시 탭 S8 스트랩 커버 | 360도 회전 가능 스트랩 교체 가능 |
77,000원 |
갤럭시 탭 S8 슬림 키보드 북커버 | 터치 패드 없음 60도 각도 |
154,000원 |
갤럭시 탭 S7 키보드 북커버 | 터치 패드 있음 최대 165도까지 조절 가능 |
198,000원 |
자료: 삼성전자
생체 인식은 지문 인식과 얼굴 인식을 지원하며 지문 인식 기능은 측면 전원 버튼에 통합돼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두 기종은 공통적으로 S펜과 삼성 덱스를 지원합니다. 갤럭시 탭 S7과 S8의 스펙을 종합해 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표] 갤럭시 탭 S7·S8 스펙
구분 | 갤럭시 탭 S7 | 갤럭시 탭 S8 |
메모리/저장용량 | 6/128GB 8/256GB 12/512GB |
8/128GB 12/256GB |
프로세서 | SD 865+ | SD 8 1세대 |
후면 카메라 | 메인 1,300만 초광각 500만 |
메인 1,300만 초광각 600만 |
전면 카메라 | 800만 | 초광각 1,200만 |
근거리 무선통신 | 와이파이 6 블루투스 5.0 |
와이파이 6E 블루투스 5.2 |
이동통신 | LTE | 5G, LTE |
내구성 | - | 긁힘 30% 개선 휨 40% 개선 |
무게 | 498g (Wi-Fi) 500g (LTE) |
503g (Wi-Fi) 507g (5G) |
디스플레이 | 11인치 LCD 패널 화면 비율 16:10 해상도 WQXGA (2560 x 1600, 276ppi) 최대 주사율 120Hz |
|
배터리 | 8,000mAh 용량 45W 충전 지원 |
|
포트 | USB-C USB 3.2 1세대 |
|
microSD 카드 | 최대 1TB 지원 | |
심 개수 | 싱글 심 | |
스피커 | 쿼드 스테레오 스피커 돌비 애트모스 지원 |
|
3.5㎜ 이어폰 잭 | 미지원 | |
세로 | 165.3mm | |
가로 | 253.8mm | |
두께 | 6.3mm | |
생체 인식 | 지문 인식 (측면 전원 버튼) 얼굴 인식 |
|
S펜 | 지원 | |
삼성 덱스 | 지원 | |
동영상 녹화 | 4K 30fps | |
센서 | 지문 센서 조도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홀 센서 |
자료: 삼성전자
'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갤럭시 탭 S7 플러스, S8 플러스 가격 및 스펙 비교 (0) | 2022.07.23 |
---|---|
아이패드 8세대, 9세대 차이점 정리 (0) | 2022.07.19 |
샤오미 12S 울트라 가격 및 스펙 (0) | 2022.07.15 |
로그폰 6 및 6 프로 가격 및 스펙 (0) | 2022.07.12 |
삼성전자 이미지센서 아이소셀 HP, HM, GN 스펙 (0) | 2022.07.11 |
댓글